본문 바로가기
시사

일본뇌염 경보 발령_예방 접종 및 예방 수칙 준수~~

by ∑dusdnjstmxk♬ 2022. 7. 25.
반응형

부산지역에서

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

전체 모기의 90.4%로 확인됨에 따라

지난 7월 23일

질병관리청에서

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습니다.

 

모기
작은빨간집모기

 

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 기준

  • 주의보 :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당해연도 최초 채집될 시
  • 경보 : 다음 4가지 중 한 가지 이상 해당 시
    1.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% 이상 일 경우
    2.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된 경우
    3.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경우
    4.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

 

예방 접종

  •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예방백신이 있습니다. 
  •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(2009년 1월 1일 이후 출생) 아동의 표준 예방접종일정

예방접종 실시기준
백신별 예방접종 실시기준

  •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일본뇌염 유행 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 등 고위험군도 예방접종이 권장됩니다.
    • 일본뇌염 유행 국가 : 오스트레일리아, 방글라데시, 브루나이, 미얀마, 캄보디아, 중국, 괌, 인도, 인도네시아, 일본, 라오스, 말레이시아, 네팔, 파키스타, 파푸아뉴기니, 필리핀, 러시아, 사이판, 싱가포르, 스리랑카, 대만, 태국, 베트남, 동티모르 등
    •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외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경우, 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

 

모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

  1.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,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2. 노출된 피부나 옷, 신발 상단,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, 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3.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을 정비하고,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4.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 주변의 웅덩이,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도 합니다.
반응형

댓글